WWW(3)
-
교호작용(interaction)
교호작용(interaction)은 두 가지 이상의 변수가 함께 조합되어 효과가 발생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. 한 변수의 효과가 다른 변수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를 말한다. 어떤 약의 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고 가정하면 이 경우 성별과 약의 복용 여부라는 두 변수 간의 교호작용의 현상으로 약의 효과가 남성과 여성 사이에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. 통계 분석에서 교호작용을 고려하지 않고 모형을 설정할 경우 중요한 효과를 놓칠 수 있다. 빅데이터에서의 교호작용은 여러 변수 간의 조합이 예측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. 마케팅 데이터에서 광고 비용과 광고 채널의 조합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때, 광고 비용과 채널 간의 교호작용이 있을 수 있다. 이러한 교호작용을 고려하지 ..
2024.03.31 -
SAN NAS
SAN(S torage A rea N etwork)과 NAS(N etwork A ttached S torage)는 모두 데이터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데 사용되는 저장소 시스템이다. 차이점 구조 - SAN은 전용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스토리지 간에 연결된다. 일반적으로 FC(Fibre Channel) 또는 iSCSI(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)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한다. - NAS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 레벨로 데이터를 공유한다. TCP/IP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, NFS(Network File System) 또는 SMB(Server Message Block)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. 접근 방식 - SAN은 블록 수준에서 데이터에 ..
2024.03.10 -
스왑(SWAP) 가상메모리
메모리가 부족할 시 자료 처리를 위한 메모리 용량을 확보를 하는 것이다. 하드디스크의 저장 장치 일부 공간을 스왑 메모리로 사용한다. 스왑 메모리의 크기는 메모리 용량의 1~2배 정도를 설정해주는 것이 좋다. 메모리가 많을수록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와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이 향상되지만, 메모리를 무한정으로 늘릴 수는 없으며 메모리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비용이 발생한다. 따라서 일반적으로 스왑 메모리의 크기를 주 메모리의 일정 비율로 설정하여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.
2024.02.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