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runk 모드와 Access 모드
2025. 1. 31. 09:58ㆍLinux*security/Switch&Router
반응형
Trunk 모드와 Access 모드의 차이
스위치 포트를 설정할 때 Trunk 모드와 Access 모드는 VLAN(Virtual Local Area Network) 구성을 관리하기 위한 두 가지 모드이다. 이 두 모드는 주로 VLAN 트래픽을 처리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.
1. Access 모드
특징
- 단일 VLAN에 속하는 장치와 연결.
- 일반적으로 PC, 프린터, 서버와 같은 끝단 장치에 사용.
- 포트를 통해 전송되는 트래픽에는 VLAN 태그가 제거된다.
- VLAN ID는 해당 포트가 속한 단일 VLAN에 고정된다.
용도
- PC, 프린터, 서버 등과 스위치를 연결할 때.
- VLAN 트래픽 태그가 필요 없는 엔드포인트 장치에서 사용.
예시
- 포트를 VLAN 10으로 설정하면, 해당 포트를 통해 보내거나 받는 트래픽은 모두 VLAN 10에 속함.
- 다른 VLAN 트래픽은 이 포트를 통과하지 않음.
설정
Switch(config)# interface fastEthernet 0/1
Switch(config-if)# switchport mode access
Switch(config-if)# switchport access vlan 10
2. Trunk 모드
특징
- 여러 VLAN의 트래픽을 전송.
- 각 프레임에 VLAN 태그(802.1Q)를 추가하여 트래픽을 구분.
- 주로 스위치 간 연결이나 스위치와 라우터 간 연결에 사용.
- Trunk 링크는 VLAN 정보를 유지하므로, 서로 다른 VLAN 간의 트래픽을 구분 가능.
용도
- 스위치 간 연결 시 VLAN 정보를 공유.
- 라우터와 스위치를 연결하여 라우터가 여러 VLAN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정.
예시
- VLAN 10, VLAN 20, VLAN 30 트래픽이 동일한 포트를 통해 전달되지만, 각각의 트래픽은 VLAN 태그를 통해 구분됨.
설정 명령어
Switch(config)# interface fastEthernet 0/1
Switch(config-if)# switchport mode trunk
Switch(config-if)#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
3. 주요 차이점 비교
특징 Access 모드 Trunk 모드
사용 대상 | PC, 서버, 프린터와 같은 엔드포인트 장치 | 스위치-스위치 또는 스위치-라우터 연결 |
VLAN 태그 | 제거 (단일 VLAN만 사용 가능) | VLAN 태그 포함 (여러 VLAN 지원) |
VLAN 수 | 하나의 VLAN만 설정 가능 | 다수의 VLAN 설정 가능 |
적용 시나리오 | 단일 VLAN을 사용하는 장치와 연결 시 사용 | 여러 VLAN 트래픽을 공유하거나 라우팅할 때 사용 |
명령어 차이 | switchport mode access | switchport mode trunk |
4. 간단한 예
Access 모드의 흐름
- PC가 스위치 포트(FastEthernet0/1)로 연결됨.
- 해당 포트는 VLAN 10으로 설정됨.
- 트래픽이 VLAN 태그 없이 전송됨.
Trunk 모드의 흐름
- 스위치 A와 스위치 B가 FastEthernet0/1로 연결됨.
- 스위치 A에서 VLAN 10, VLAN 20 트래픽이 VLAN 태그를 포함하여 전송됨.
- 스위치 B가 태그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각 VLAN으로 분배.
5. 언제 어떤 모드를 사용할까?
- Access 모드: 엔드포인트(PC, 서버 등)를 스위치에 연결할 때.
- Trunk 모드: 스위치 간 연결 또는 라우터와의 연결처럼 여러 VLAN을 처리해야 할 때.
반응형
'Linux*security > Switch&Rout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SRP 메시지 형식 및 패킷 필드 (0) | 2025.01.31 |
---|---|
ARP 테이블 확인 (0) | 2025.01.31 |